중국경제
중국, 공해배출 기업 수출 금지
HSK
2007. 10. 15. 23:47
최근 중국에서 다국적 기업에 대한 환경오염 감시가 강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중국 진출 한국 기업들도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중국 상무부와 환경총국은 14일 환경 법규를 어긴 기업에 대해 1~3년 동안 수출 쿼터를 승인하지 않고 수출 면허증 발급을 중단키로 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또 화학업체 등 일부 업종은 기업 내에 환경관리 감독위원회를 설립하고 정기적으로 정부에 보고토록 했다.
상무부는 특히 자원 소모가 많은 업종과 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기업을 집중 감시하기로 했다.
야금,화공,시멘트,경공업 등 무역수지 규모가 크고 급성장하는 관련 업종 회사는 자체적으로 환경감독 기구를 만들도록 했다.
이 기구는 환경감독 전문가로부터 정기적으로 환경지표 관련 검사를 받은 뒤 그 내용을 상무부 등에 보고하는 업무를 맡게 된다.
중국 정부는 일단 적발된 기업에 대해선 가장 경미한 경우에도 1년 동안 수출을 금지하기로 했으며 해당 기업이 불법 행위를 시정했다는 것을 확인한 뒤 수출금지 조치를 해제할 방침이다.
또 각 지방 정부가 환경 감시를 철저히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강력한 환경 감시를 요구했다.
상무부와 환경총국은 각 지방 정부에 이 같은 내용의 통지문을 하달했다.
통지문은 '일부 기업이 수출 단가를 낮추기 위해 공해 배출 기준을 무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규제를 대폭 강화한 배경을 설명했다.
이와 관련,중국 언론은 최근 다국적 기업의 오염물질 배출 사례가 올 들어 88건으로 지난해 33건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보도하는 등 외자 기업의 환경오염 문제를 집중적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광둥성 등에서는 외자 기업에 대해 선별적인 환경 검사를 실시,일본계 기업들이 적발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