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상파 DMB 의 활용방안으로 시작된 교통정보 방송에 이어서 재난방송 매체로도 활용할 계획이 있는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런 새로운 시도는 가까운 중국에서도 유심히 한국의 지상파 DMB 방송역활를 바라보고 있기 때문에 한국의 앞선 일종의 DMB 방송 콘텐츠가 중국에 자연스럽게 진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있다.
그예로 한국에서 시작한 교통정보방송을 위해서 이미 북경의 공식 지상파 DMB 방송국인 웨롱은 TPEG 도입을 위해서 한국의 업체와 계약을 했으며 이것은 2008년 북경 올림픽을 위해서 방문하게 될 외국 사람들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함이라고 했다. 또한 이런 기본 적인 단순한 교통정보이외에도 종합적인 교통정보 즉 항공이나 기차 고속버스 선박등의 종합적인 정보가 포함될것이고 더나아가 요즘 한국에서 시작한 DMB 네비게이션도 곧 도입할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번의 한국에서 제난 방송을 지상파 DMB 에 활용할것으로 알려지고 있어서 중국에서도 이런 비상재난 방송같은 비숫한 방송을 언제든지 듣고 볼수 있는 DMB 방송을 활용할것으로 보인다.
아래는 한국의 신문기사이다..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이 △이용자 700만 시대 △이동성 △방송권역 전국화 등에 힘입어 AM·FM 라디오방송과 함께 재난 방송 매체로 활용될 전망이다.
16일 관계당국에 따르면 정보통신부는 최근 건설교통부 ‘도로터널 방재시설 설치기준’ 및 소방방재청 ‘민방위경보발령·전달규정’에 지상파 DMB를 추가해줄 것을 공식 요청, 이르면 올 4분기부터 재난 방송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교부는 도로터널 방재시스템 첨단화 계획에 따른 설치기준 종합개정작업을 통해 지상파 DMB 추가 방안을 검토·추진할 계획이다. 소방방재청도 적극적인 검토작업을 벌여 이른 시일 내에 민방위경보발령·전달규정을 개정하기로 했다. 이로써 지상파 DMB는 무료 보편적 서비스로서 면모를 일신하고, 이용자 증대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풀이된다.
이기주 정통부 전파방송기획단장은 “오는 10월 지역민방들이 지상파 DMB 본방송을 시작하면 가시청권이 전국 면적 대비 75%에 달할 것”이라며 “새로운 미디어(지상파 DMB)가 출현해 재난 관련 정보를 국민에게 널리 알려준다는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 단장은 또 “재난 방송을 통해 지상파 DMB를 널리 알리는 계기도 될 것”으로 기대했다.
실제로 MBC가 9월, 지역민방이 10월부터 지상파 DMB 전국 방송을 본격화하기 위한 ‘지상파 DMB 송신소 구축계획’을 정통부에 제출했다. KBS는 이에 앞선 지난 1일 전국 방송에 돌입했다.
정통부 관계자는 “지난 2004년 12월 도로터널 방재시설 설치기준이 제정된 이래로 단 한 차례도 개정된 적이 없다”며 “지상파 DMB 이용자가 700만명에 이르고, 올 하반기에 방송권역이 전국화하는 등 재난 방송 매체로 활용할 가능성이 커져 관련 기준 개정작업에 포함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예로 한국에서 시작한 교통정보방송을 위해서 이미 북경의 공식 지상파 DMB 방송국인 웨롱은 TPEG 도입을 위해서 한국의 업체와 계약을 했으며 이것은 2008년 북경 올림픽을 위해서 방문하게 될 외국 사람들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함이라고 했다. 또한 이런 기본 적인 단순한 교통정보이외에도 종합적인 교통정보 즉 항공이나 기차 고속버스 선박등의 종합적인 정보가 포함될것이고 더나아가 요즘 한국에서 시작한 DMB 네비게이션도 곧 도입할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번의 한국에서 제난 방송을 지상파 DMB 에 활용할것으로 알려지고 있어서 중국에서도 이런 비상재난 방송같은 비숫한 방송을 언제든지 듣고 볼수 있는 DMB 방송을 활용할것으로 보인다.
아래는 한국의 신문기사이다..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이 △이용자 700만 시대 △이동성 △방송권역 전국화 등에 힘입어 AM·FM 라디오방송과 함께 재난 방송 매체로 활용될 전망이다.
16일 관계당국에 따르면 정보통신부는 최근 건설교통부 ‘도로터널 방재시설 설치기준’ 및 소방방재청 ‘민방위경보발령·전달규정’에 지상파 DMB를 추가해줄 것을 공식 요청, 이르면 올 4분기부터 재난 방송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교부는 도로터널 방재시스템 첨단화 계획에 따른 설치기준 종합개정작업을 통해 지상파 DMB 추가 방안을 검토·추진할 계획이다. 소방방재청도 적극적인 검토작업을 벌여 이른 시일 내에 민방위경보발령·전달규정을 개정하기로 했다. 이로써 지상파 DMB는 무료 보편적 서비스로서 면모를 일신하고, 이용자 증대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풀이된다.
이기주 정통부 전파방송기획단장은 “오는 10월 지역민방들이 지상파 DMB 본방송을 시작하면 가시청권이 전국 면적 대비 75%에 달할 것”이라며 “새로운 미디어(지상파 DMB)가 출현해 재난 관련 정보를 국민에게 널리 알려준다는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 단장은 또 “재난 방송을 통해 지상파 DMB를 널리 알리는 계기도 될 것”으로 기대했다.
실제로 MBC가 9월, 지역민방이 10월부터 지상파 DMB 전국 방송을 본격화하기 위한 ‘지상파 DMB 송신소 구축계획’을 정통부에 제출했다. KBS는 이에 앞선 지난 1일 전국 방송에 돌입했다.
정통부 관계자는 “지난 2004년 12월 도로터널 방재시설 설치기준이 제정된 이래로 단 한 차례도 개정된 적이 없다”며 “지상파 DMB 이용자가 700만명에 이르고, 올 하반기에 방송권역이 전국화하는 등 재난 방송 매체로 활용할 가능성이 커져 관련 기준 개정작업에 포함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DMB+IP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IPTV 미래 전망 (0) | 2007.10.18 |
---|---|
중국 IPTV도 독자표준으로 갈 듯 (0) | 2007.10.06 |
중국 청도에 올림픽 연습경기 SCDMA 무선시스템 전송실현 (0) | 2007.08.21 |
중국 화치(AIGO) 중국향 DMB(모비일TV) 출시 (0) | 2007.08.21 |
중국에서의 지상파 DMB 시장 진출 (0) | 2007.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