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경제

중국진출 한국기업 기업매각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경영난으로 벼랑 끝에 몰렸던 중국 진출 한국 중소기업들이 청산 대신 기업 매각을 통한 돌파구를 마련하고 있다. 중국 내 인건비 상승과 규제 강화 탓에 한계 기업으로 내몰렸던 중소기업들은 청산을 하고 싶어도 관련 법규가 미비해 업주의 야반도주 사태까지 빚으며 한·중간 외교 마찰로 비화됐었다.

이 와중에 중국에 진출을 검토 중인 한국 기업들이 이들 한계 기업을 인수하거나 해당 기업의 설비를 매입해 ‘윈 윈’효과를 노리는 시도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해서는 한국 정부가 지원하는 인력과 예산이 턱없이 부족한 데다 중국 내 규제 완화 지원도 전무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6일 지식경제부, 코트라, 대한상의 및 산업계에 따르면 중국에서 철수하려는 한국 기업을 인수하려는 국내 기업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에서 정밀절삭공구 제조업을 하고 있는 중소기업 D사는 최근 중국 주재 코트라 무역관을 통해 한계 기업을 인수하기 위한 컨설팅을 의뢰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 내 정밀절삭공구 제조공장 운영을 목적으로 한 D사는 현지 철수를 희망하는 기업 가운데 청산 등 관련 절차에 문제가 없는 기업을 찾고 있다. 이 업체는 공구 제조업 등 동종사업을 하지 않아도 대지 면적이 1000평을 넘을 만큼 부지를 확보하고 있으면 적극 인수한다는 조건을 내걸고 있다. 제조설비를 이곳에 별도로 설치해 정밀공구 제작 사업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코트라 관계자는 “공장 입지조건이 충족된 업체를 인수하면 처음부터 시작해야 하는 기업보다 더욱 유리하기 때문에 이 같은 인수 방식이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 같은 처리 방식은 청산 절차보다 양측에 모두 좋은 조건이기 때문에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말했다.

중국 내 철수를 준비 중인 기업의 설비를 매입하려는 시도도 잇따르고 있다.

청산 절차를 밟고 중국을 떠날 경우 고가로 투자했던 설비들은 휴지조각이 돼버린다. 그러나 새로 진출하려는 기업들이 이 같은 설비들을 매입하게 되면 파는 쪽과 사는 쪽 모두 비용 회수와 투입 면에서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에 국내에서 공장 설비 매매를 전문적으로 하고 있는 중개 업체들이 중국 내 한계 기업 설비 매매 시장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지식경제부도 중국 철수를 희망하는 기업들의 설비 매매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시장조사를 마치고 적극적인 지원 방안을 강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정보 부족과 정부 지원 예산 부족 및 중국 규제완화 지원이 미비한 탓에 이 같은 인수 매매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철수하려는 기업들에 대한 컨설팅과 회계 및 법적 절차 등에 매달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인력 및 예산 확보가 시급히 이뤄지면 내년부터는 본격적인 매매 거래 활성화를 충분히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파이낸셜뉴스 ]   /jjack3@fnnews.com 조창원 강두순기자